양자 컴퓨팅 플랫폼, 누가 앞서 나가고 있을까요?

양자컴퓨팅

양자 컴퓨팅 트렌드를 알아 볼까요? 1.양자컴퓨팅 이해 양자컴퓨터가 나온다 하더라도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팅(벌써부터 고전 컴퓨터라는 표현을 쓰네요)을 대체하기는 어렵습니다. 고전 컴퓨팅은 “0과 1 = 온/오프 = 트랜지스터 켠다/끈다” 라는  이진법(0 아니면 1, 비트)을 사용합니다. 즉 전기적 신호를 구분하는 방식입니다. 반면 양자 컴퓨터는 양자중첩이라는 원리가 적용된 큐비트를 사용합니다. 즉 “0과 1사이의 어딘가 존재하는 무언가”를 이용합니다. … Read more

공간 컴퓨팅이 뭘까요? 패스스루

공간컴퓨팅

빛좋은 개살구? 알고보면 다 알고 있는 내용들, 어디선가 들어봤던 내용입니다. 다만 마켓팅 문구에 따라 같은 기술이 멋진 포장지로 포장되어 세일즈 될 뿐입니다. 공간컴퓨팅이란 공간컴퓨팅이란 공간컴퓨팅장치로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매끄럽게 결합시켜주는 기술을 말합니다. 매끄럽게로 심리스하게라고도 표현하죠. 대표적인 장치로는  애플의 비전프로, 메타의 퀘스트3가 있습니다. 공간 컴퓨팅 기술요소 패스스루(Passthrough) :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컴퓨팅 장비로 가로막히게 되는 시야를 마치 … Read more

이더리움과 웹3 의미를 알고 있나요? 웹3의 기술적 구현은 대부분 이더리움 플랫폼입니다.

크립토커런시 2대장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있어요. 둘은 전혀 결이 다르답니다. 인터넷의 탄생으로 TCP/IP가 종단간에 데이터의 이동을 보증해주는 것까지 책임졌다면, 비트코인과 이터리움 같은 프로토콜이 가치의 이동을 보증합니다. 이더리움과 웹3 관련 크립토커런시 2대장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있어요. 둘은 전혀 결이 다르답니다. 그 출발점이 다르고, 목적지도 달라요.   우리가 쓰는 인터넷은 그 기저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네트웍 프로토콜 TCP/IP라는 거대한(?) 소프웨어 로직이 … Read more